봉욱민정수석 | 봉욱 검사 프로필 고향 변호사 나무위키
봉욱민정수석
오늘은 봉욱민정수석, 봉욱 검사 프로필, 고향, 변호사, 나무위키 등에 대해 알아보자.
봉욱 민정수석 임명
이재명 정부는 오광수 전 민정수석의 사임으로 공석이 된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 자리에 봉욱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를 임명했다. 민정수석은 법률 검토, 인사 검증, 조직 운영 등 대통령실의 핵심 업무를 담당하는 중요한 자리다.
봉욱 변호사는 김대중 정부 청와대 민정수석실 파견 경험과 대검찰청 차장검사로서 전국 검사를 총괄했던 경력을 갖추고 있어 이러한 전문성이 임명에 주요 고려 요소로 작용했다.
대형 로펌인 김앤장 소속이었던 점은 논란의 여지가 있었지만, 행정 조직 운영 경험과 검찰 및 법무 분야의 전문성을 중시하는 기류 속에서 실무형 인사로 재평가되었다.
봉욱 검사 프로필
- 이름 : 봉욱
- 나이 : 59세 (1965년 7월 24일생, 2025년 기준)
- 고향 : 서울특별시 종로구
- 학력 : 여의도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사, 미국 예일대학교 로스쿨 연수
- 가족 : 아버지 (전 장기신용은행장), 어머니, 부인, 아들 1명, 딸 1명, 장인 예상해 (전 인천지방법원 부장판사)
- 사법시험 : 제29회 사법시험 합격(사법연수원 19기 수료)
- 재산 : 2019년 기준 약 21억 원 신고
- 현직 :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
봉욱 검사 경력
봉욱 변호사는 검사로 임관한 후 수사와 정책 기획 두 가지 측면에서 모두 뛰어난 능력을 발휘했다. 서울지검에서 검사 생활을 시작했으며,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1부장으로서 경제·금융 범죄 수사에서 전문성을 인정받았다.
대검찰청에서는 정책기획과장, 공안기획관, 첨단범죄수사과장 등 주요 보직을 거치며 조직 기획과 수사 전략 수립에서 탁월한 능력을 보였다. 법무부에서는 인권국장, 기획조정실장, 법무실장 등 행정 핵심 부서를 두루 거치며 행정가로서의 역량도 입증했다.
또한 청주지검 제천지청장, 서울서부지검 차장검사, 울산지검장, 서울동부지검장 등 전국 주요 검찰청에서 지휘 경험을 쌓으며 조직을 이끄는 리더십을 보여주었다. 2017년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 대검찰청 차장검사로 발탁되어 검찰총장 부재 시 직무대행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봉욱 윤석열
2019년 윤석열 당시 서울중앙지검장이 검찰총장 후보로 지명되었을 때, 봉욱 당시 대검찰청 차장검사는 조직의 안정을 위해 스스로 사의를 표명했다. 당시 두 사람은 모두 차기 검찰총장 후보로 거론되었으며, 봉욱 전 차장검사는 기수와 경력 면에서 보다 안정적인 선택지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의 파격적인 인사 기조에 따라 윤석열 검찰총장 지명이 이루어지면서, 봉욱 전 차장검사는 후배에게 총장 자리를 내주게 되었다. 자연스럽게 공직에서 물러난 이후 봉욱 전 차장검사는 검찰 조직과 거리를 두고 법조계 외곽에서 활동을 이어갔다.
두 사람은 대조적인 리더십 스타일로 종종 비교되기도 했다. 봉욱 전 차장검사는 조직 내 소통과 조율을 중시하는 합리적인 성향으로 그 특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퇴임 이후에도 후배 검찰 인사들과 교류하며 조언자 역할을 해왔다는 후문도 있다.
봉욱 검찰개혁 5적
임은정 서울동부지검장은 검찰개혁 공청회에서 봉욱 민정수석을 검찰 개혁 5적 중 한 명으로 지목했다. 임은정 지검장은 정성호 법무부 장관의 검찰개혁안을 '눈 가리고 아웅하는 수준'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현재의 검찰개혁안이 검사장 자리를 늘리는 수준에 불과하다고 지적하며 참담한 심정을 토로했다. 이러한 인사는 정부의 법무부 인사가 잘못된 결과라고 주장했다. 임은정 지검장은 검찰 개혁 작업에 관여하는 주요 인물로 봉욱 민정수석, 이진수 차관, 성상헌 검찰국장, 노만석 대검찰청 차장, 김수홍 검찰과장 등을 '검찰 개혁 5적'으로 규정했다.
이들은 현재 검찰 개혁에 대한 중요한 결정권을 가지고 있으며, 임은정 지검장은 이들이 검찰 개혁의 진정성을 훼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이들과 5대 로펌과의 유대 관계에 대한 우려도 제기하며, 문재인 정권의 검찰개혁 실패처럼 이어지지 않도록 시민들의 관심과 판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봉욱민정수석, 봉욱 검사 프로필, 고향, 변호사, 나무위키 등에 대해 알아보